프랑스 -Pierre Bonnard (1867~1947)

작성자 : 미리내    작성일시 : 작성일2016-11-06 20:35:15    조회 : 614회    댓글: 0
10_04_12-43.gif
 

 

 

나는 문외한(門外漢)적인 자신에 대해 왜소(矮小) 함을 자주 느낀다. 특히 미술은 더욱 그렇다. 난해한 작품을 대할 때 마다 고통이 따른다. 그래도 그림이 문학보다 위대하다는 말을 들은 바 있어 고통은 소통이 되어야 하곤 했다.

프랑스 화가 보나르는 그 유명한 피카소가 [얼치기 화가]라고 혹평을 하는 바람에 내가 관심을 갖게 된 분이다. 이런 이야기가 있다. 만년의 피에르 보나르(Pierre Bonnard·1867~1947)가 프랑스 남부의 칸에 살 때다. 하루는 가정부가 정원의 꽃을 꺾어 테이블에 올려놓았다.

그런데 오후가 지나도 보나르는 꽃을 그릴 생각을 하지 않았다. 가정부는 보나르에게 물었다. 주인님, 왜 꽃을 그리지 않는 거죠? 시들기 전에 그리셔야 할 텐데요.” 보나르는 꽃을 물끄러미 쳐다보면서 대답했다.

꽃이 시들기를 기다리고 있어요. 꽃은 시들어야 존재감이 생기거든요. 꽃의 시듦에 대한 보나르의 존재론적 사유(思惟)에 심하게 매혹된 나는 그의 작품을 들여다보기 시작한다.

피카소가 ‘얼치기 화가’라고 보나르를 폄하했던 말던 그에게 매료된 계기는 의외로 이렇게 사소하고 단순하다.

나는 보나르의 시든 꽃에 대한 취향이 얼마나 그의 본질을 잘 드러내는지 깨닫는다. 동시에 시든 꽃에 대한 그의 취향이 바로 시든 사람아픈 연인에 대한 연민과 사랑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보나르는 19세기 말 부르주아의 단란하고 내밀한 가정생활을 즐겨 다룬 앵티미슴(Intimisme) 경향을 대표하는 나비 파(폴 고갱을 따르던 화가들)의 일원이다. 그는 꽃과 과일과 같은 정물, 개와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 어린아이와 여자들과 같이 일상 속의 친밀한 소재들을 그렸다.  

그리고 그의 작품 속에 빠짐없이 지속적으로 드러나는 존재가 있었다. 바로 그의 오랜 연인이자 아내였던 ‘마르트’이다. 어떤 화가도 보나르만큼 한 여자에 대한 집중을 보인 예가 없다.

보나르는 평생 한 여자, 마르트하고 살았다. 보나르는 1893년 26세 때 파리의 오스망 거리를 지나다가 우연히 마르트(1869~1942)를 만난다.  

장례용 조화를 만드는 가게에서 일했던 그녀는 속내를 알 수 없는 미스터리한 여인이었다. 첫 만남부터 마르트는 자신이 16세라고 속였다. 본명이 마리아 부르쟁이라는 걸 알게 된 것도 같이 산 지 32년 만에 혼인신고를 할 때였다. 보나르는 이 모든 것을 무심하게 받아들였다.

사실 마르트는 병든 여자였다. 그녀는 ‘한 마리의 새’처럼 가냘픈 체격에 걸음새가 사뿐 사뿐했으며, 약간 어린아이 같은 둥근 얼굴에 연보랏빛 눈동자를 지녔다. 폐질환이 있어서인지 목소리는 쇳소리가 났다.  

점차 폐질환이 심해지고 정신까지 온전치 않게 되면서 중년에는 편집증과 피해망상에 사로잡혔다. 마르트는 다른 화가들이 보나르의 아이디어를 훔칠까 봐 집에 찾아오는 것을 싫어했다. 보나르가 강아지 산책을 핑계로 친구를 만나야만 했을 정도다.  

그럼에도 그는 마치 이런 억압을 즐기는 사람처럼 조심스럽게 행동하면서 그녀에 대한 연민을 버리지 않았다. 그는 모든 생활이 마르트 중심으로 돌아가게 만들었다. 맑은 공기와 청결함 그리고 안정이 필요한 그녀를 위해 한적한 온천이나 요양지를 찾아 다녔다.  

평소 목욕하는 것을 좋아해 욕조에서 살다시피한 그녀를 위해서 당시로선 드문 뜨거운 물이 나오는 시설을 갖추는 등 돈을 아끼지 않았다.

보나르는 이미 결혼신고 수년 전에 자신의 전 재산을 마르트에게 남긴다는 유서를 남겼다. 

보나르는 자기 또래인 마르트의 나체를 더욱 더 집착적으로 그려낸다. 그것도 오십대 중반의 여자를 20대 중반, 열정적으로 사랑했을 당시의 젊고 아름다운 육신으로만 묘사했다. 목욕 준비를 하고, 욕조에 막 들어서고, 목욕을 끝내고 분가루를 바르는 여인의 모습으로.....  

그렇게 400점에 가까운 작품을 남겼다. 중요한 건 그림 속 그녀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여자처럼 보인다는 사실이다. 마치 공기처럼 투명하게 부유(浮游)하는 이미지로 드러나는 것이다. 그뿐 아니다. 나체가 아닌 정물이나 풍경을 그릴 때조차도 마르트는 거의 모든 작품에 등장한다.  

 

그것도 단박에 명료하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유령처럼 어슴푸레 출몰한다. 그런 까닭에 우리는 마르트를 찾기 위해 아주 오랫동안 열심히 보나르의 그림을 들여다보아야만 한다. 마치 숨은 그림 찾기 하듯이.

중요한 건 보통 사람들에겐 힘들고 버거운 대상인 신경증환자가 보나르에겐 영감의 근원이 되었다는 점이다. 병든 마르트와 살면서 가장 생산적인 시기를 보냈기 때문이다.  

무엇이 보나르를 그렇게 만든 것일까. 보나르는 왜 마르트에게 매료된 것일까.

그것은 단순히 연약하고 병든 여자에 대한 보호본능과 연민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그 이유를 알기 위해 죽은 보나르를 불러낼 필요는 없다. 그림이 말해주니까.

그림 속 마르트는 거의 혼자다. 그녀는 욕조에 들어가거나, 목욕을 하거나, 수건으로 몸을 닦거나, 거울을 들여다보거나, 식탁에 앉아 있거나, 차를 마실 때에도 언제나 홀로다. 물리적 의미에서가 아닌 심리적 의미에서 그렇다.

마르트는 세상에서 할 일이라고는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것이 전부인 양, 혹은 자기 앞의 사물이 온 세계인 양 완전히 ‘몰입’되어 있다. 마치 자폐증에 걸린 아이처럼, 놀이에 빠진 아이처럼 자기만의 세계에 푹 빠져 있는 것이다.   바로 이 모습이 예술가인 보나르를 매료시켰을 것이다.

마르트가 병적인 나르시시즘에 빠져 있지 않고, 여느 여자처럼 헌신적으로 보나르를 사랑했다면? 오히려 보나르는 더 이상 그녀 곁에 머물러 있지 않았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어떤 가수가 TV 토크 프로그램에 나왔다. 이상형을 묻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인상적이다. “낯선 여자”.....    낯선 여자가 이상형이란다....

 맞다. 소설가 마르셀 프루스트 (Valentin Louis Georges Eugene Marcel Proust, Marcel Proust)가 말했다.

“그녀는 다른 어떤 이유에서가 아니라, 나와 다른 자 즉 타자(他者)이기 때문에 숙명적으로 비밀스러운 것이며, 이 타자성 때문에 결국 나로 환원될 수 없고, 늘 낯선 자로 남는 것이다.” (‘사라진 여인’ 중)  

그러니까 프루스트는 알베르틴의 이타성을 파괴하여 그녀를 소유하는 데 성공한 적이 없으며, 오히려 그녀의 이타성, 그녀의 낯섦이 계속 상처를 주는 한에서만 그녀를 사랑할 수 있었노라고 고백하고 있다. 보나르의 사랑 역시 프루스트적인 것이 아닐까.

 마르트가 없었다면...., 그녀가 사람들과 떠들어대며 사귀는 사람이었다면 그래서
은둔(隱遁)하지 않고 병들지 않고 밖으로 나도는 삶을 살았더라면, 보나르는 어떤 작품을 했을까. 아마 이런 환상적인 그림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중요한 건 마르트의 신비가 아니다. 그녀를 바라보는 보나르내면(內面)이다.

어째서 피카소가 이런 보나르를 [얼치기 화가]라고 혹평을 했을까?

본훼퍼도 크리스천이란 타자를 위한 존재라고 말했는데...
 

Bonnard_156.jpg

프랑스 화가 보나르의 작품세계150점

해변의 노래 / 미샤 마이스키(첼로연주)

misha-1.jpg




 

Bonnard_153.jpg

 



Bonnard_152.jpg

 



Bonnard_151.jpg

 



Bonnard_150.jpg  

 



Bonnard_148.jpg

 



Bonnard_147.jpg

 



Bonnard_146.jpg

 




Bonnard_145.jpg

 



Bonnard_144.jpg

 



Bonnard_143.jpg

 



Bonnard_142.jpg

 



Bonnard_141.jpg

 



Bonnard_140.jpg

 



Bonnard_139.jpg

 



Bonnard_138.jpg

 



Bonnard_137.jpg

 



Bonnard_136.jpg

 



 

 



Bonnard_134.jpg

 



Bonnard_133.jpg

 



Bonnard_132.jpg

 



 

 



Bonnard_130.jpg

 



 

 



Bonnard_128.jpg

 



Bonnard_127.jpg

 



Bonnard_126.jpg

 



Bonnard_125.jpg

 



Bonnard_124.jpg

 



Bonnard_123.jpg

 



Bonnard_122.jpg

 



Bonnard_121.jpg

 



Bonnard_120.jpg

 



Bonnard_119.jpg

 



Bonnard_118.jpg

 



Bonnard_117.jpg

 



Bonnard_116.jpg

 



Bonnard_115.jpg

 



Bonnard_114.jpg

 



Bonnard_113.jpg

 



Bonnard_112.jpg

 



Bonnard_111.jpg

 



Bonnard_110.jpg

 



Bonnard_109.jpg

 



Bonnard_108.jpg

 



Bonnard_107.jpg

 



Bonnard_106.jpg

 



Bonnard_105.jpg

 



Bonnard_104.jpg

 



Bonnard_103.jpg

 



Bonnard_102.jpg

 



Bonnard_101.jpg

 



Bonnard_100.jpg

 



Bonnard_99.jpg

 



Bonnard_98.jpg

 



Bonnard_97.jpg

 



Bonnard_96.jpg

 



Bonnard_95.jpg

 



Bonnard_94.jpg

 



Bonnard_93.jpg

 



Bonnard_92.jpg

 



Bonnard_91.jpg

 



Bonnard_90.jpg

 



Bonnard_89.jpg

 



Bonnard_88.jpg

 



Bonnard_87.jpg

 



Bonnard_86.jpg

 



Bonnard_85.jpg

 



Bonnard_84.jpg

 



Bonnard_83.png

 



Bonnard_82.jpg

 



Bonnard_81.jpg

 



Bonnard_80.jpg

 



Bonnard_79.jpg

 



Bonnard_78.jpg

 



Bonnard_77.jpg

 



Bonnard_76.jpg

 



Bonnard_75.jpg

 



Bonnard_74.jpg

 



Bonnard_73.jpg

 



Bonnard_72.jpg

 



Bonnard_71.png

 



 

Bonnard_69.jpg

 



Bonnard_68.jpg

 



Bonnard_67.jpg

 



Bonnard_66.jpg

 



Bonnard_65.jpg

 



Bonnard_64.jpg

 



Bonnard_63.jpg

 



Bonnard_62.jpg

 



Bonnard_61.jpg

 



Bonnard_60.jpg

 



Bonnard_59.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